티스토리 뷰

생활정보

추석 차례지내는 순서 파헤치기

와니사랑맘 2020. 3. 28. 23:25
반응형

추석 차례지내는 순서 

안녕하세요 혹시 추석같은 명절날 차례를 지내는 순서에 대해서 궁금해서 여기로 접속을 하셨다면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여 차례지내는 순서에 대한 그 궁금증을 해결해 보시길 바랍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기제사라고 부르는 제사와는 다르게 차례상은 모든 신위를 하나의 상에 모두 올려서 지내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즉 조상이나 성주신에게 세배를 하거나 인사를 드린다고 보면 됩니다 차례는 단작무축이라고 하여 술도 처음에 한번만 올리시면 되고 축문은 읽지를 않는거랍니다


1. 향을 피우고 나서 정을 두번하는 것을 말합니다(분향강신)
2. 술잔에 술을 조금만 부어서 또 다시 퇴주그릇(빈그릇)에 붓고 빈잔을 올리시고 절을 두번 하시면 된답니다(참신)
3. 밥의 뚜껑을 열고나서 가운데에 수저를 꽂는 것을 말합니다(계반삽시)
4. 술을 가득 부어서 올리고 절을 두번 하시면 됩니다(초헌)

5. 수저를 걷고 밥의 뚜껑을 닫습니다(철시복반)
6. 두번 절하시면 됩니다(사신)
7. 상을 물리시면 됩니다(철상)
8. 타다 남은 향과 지방을 불사르고 음식을 먹는 것을 말합니다(음복)




그리고 추가로 차례상을 지내실때 상위에 음식을 놓는 법칙들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아마도 많은 분들이 이것을 헷갈려 하시는 것 같아서 이렇게 하께 올려봅니다



추석같은 명절에 이렇게 차례를 지내는 순서에 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도움이 많이 되셨음합니다

반응형
댓글